*제가 웹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메모한 내용이기 때문에 다른 프로젝트와 다를 수 있습니다.
web.xml
- web.xml에 서블릿을 지정해줌
- DispatcherServlet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받는 서블릿으로서 컨트롤러나 뷰와 같은 스프링 MVC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함
- <url-pattern>*.do </url-pattern>
- *.do로 들어오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DisptcherServlet이 처리하도록 설정
- / 로 설정했을 경우dispatcher-servlet.xml에서 resources 매핑 해줘야 함 : <mvc:resources mapping="/js/**" location="/js/" />
dispatcher-servlet.xml
- HandlerMapping, Controller, ViewResolver, annocation, interceptor 등의 빈을 설정함
applicationContext.xml
- web.xml에서 지정해줌
- <bean id="propertyConfigurer" ...> : ${ } 이걸로 프로퍼티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줌 : 프로퍼티 치환자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프로퍼티 파일의 키 값을 ${ } 안에 넣어서 만드는 역할
- <bean id="dataSource" ...> : 커넥션 풀을 이용한 DataSource 설정
- <bean id="sqlSessionFactory" ...> : myBatis 스프링 연동 모듈 SQL연동 : myBatis를 스프링 트랜잭션에 연결하고 연동하게 하는 역할
SqlMapConfig.xml
- <typyAlias alias> = "BoardCommand" 별칭을 만듦, type에 command 연결
- <mapper resource> = 매핑할 sql이 있는 xml파일 지정
tiles 설정
- pom.xml에 tiles 추가(maven)
- dispatcher-servlet에 tiles 설정 추가
- layoutAll.jsp에 조립한 것을 끼워 전체 화면을 보일 수 있도록 jstl을 이용하여 위치를 정해줌
- tiles의 JSTL인 tiles:insertAttribute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를 지정(name은 임의로)
tiles.xml에 tiles 설정
- 조립하는 부분의 put-attribute name에는 tiles:insertAttribute name에 썼던 name을 사용
- 아래 부분의 뷰를 설정하는 부분은 extends에, 조립한 definition name을 써줌
- 아래 부분의 뷰를 연결하는 부분의 difinition은 스프링 컨트롤러에서 view값이 되는 부분임
- 이 부분은 개별 뷰를 만들 수도 있고, wildcard를 이용하여 jsp 파일 이름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음
BoardDao.java
- public inerface BoardDao로 생성(interface)
- @Repository
BoardDaoImpl.java
- SqlSessionDaoSupport를 상속받음
- DaoSupport : DAO에서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
- Template 클래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해줌
- BoardDao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아 작성하기 때문에 BoardDao에 있는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해야함
- class위에 @Component를 작성 : Bean을 자동적으로 등록해줌 : @Service("BoardDao")
BoardMapper.xml
- parameterType : 받아올 값의 타입
- resultType : 넘겨줄 값의 타입
'용어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프로그래머 면접 예상 질문 (0) | 2016.09.29 |
---|---|
인터페이스(Interface) (0) | 2016.09.28 |
객체지향 언어의 개념 및 특징과 장단점 (1) | 2016.09.28 |
프레임워크란? (0) | 2016.09.28 |
MVC 패턴에 대하여 (0) | 2016.09.28 |
댓글